슬기로운 엄마생활
임신부터 출산,육아까지 받을 수 있는 모든 혜택을 알려드립니다

아기 2세~3세 발달과정 사회성 발달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방법

2세부터 3세까지 아이들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발달시킵니다. 부모는 아이의 사회성 발달을 지원하며 나누기, 차례 지키기 등 중요한 규범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2세에서 3세 사이에 접어들면 사회적 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 아이들은 자신을 다른 사람과 구별하기 시작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인 규범과 감정을 배우게 됩니다. 부모로서 이 시기의 사회성 발달을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아이가 긍정적인 사회성을 갖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시기 아이들이 어떻게 사회성을 발달시키는지, 그리고 부모가 어떻게 이를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사회성 발달의 시작: 나와 타인을 구별하기

2세에서 3세는 아이가 자신과 타인을 구별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아이는 자기 중심적인 성향을 보이기 시작하면서도, 점차적으로 다른 사람의 감정과 욕구를 이해하려고 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과 다른 사람의 욕구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기 시작하며,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초가 됩니다.

1) 자아 인식

이 시기의 아이들은 거울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거나, 이름을 부를 때 자신에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 시점에서 아이는 ‘자기’를 인식하고, '나'와 '너'라는 구별을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를 밟게 됩니다. 부모는 이 시기에 아이에게 자기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이건 네 거야!”라고 말하며 아이가 자기 물건을 인식하고 자아를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2) 감정의 이해와 표현

아이들은 점차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화나거나 슬플 때 이를 표현할 수 있게 되며, 부모는 아이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지금 속상한 거구나” 혹은 “슬프구나”라고 말하면서 아이가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또래와의 상호작용: 친구를 사귀는 첫걸음

3세가 되면 아이는 본격적으로 또래와 상호작용을 시작합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부모의 영향 아래에서 기본적인 사회 규범과 역할을 배우고, 또래와의 관계에서 협력, 경쟁, 나눔 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 시기에 부모는 아이가 긍정적인 또래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적절한 지원을 해야 합니다.

1) 나누기와 협력

아이들은 2세에서 3세 사이에 간단한 사회적 규칙을 배우기 시작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나누기’입니다. 아이들은 이 시기에 다른 아이들과 함께 놀면서 장난감을 나누는 법을 배웁니다. 부모는 “이 장난감은 네가 끝낸 후에 친구와 나누자”라며 나눔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가르쳐 줄 수 있습니다.

2) 대인 관계의 기본: 기다리기와 차례 지키기

아이들은 이 시기부터 다른 사람의 차례를 기다리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놀이터에서 친구가 놀고 있을 때 자신이 기다려야 한다는 점을 배우는 것도 중요한 경험입니다. 부모는 아이가 친구와 차례를 지키도록 도와주며, 차례를 지킬 때마다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아야 합니다.

3) 친구 관계에서의 갈등 해결

또래 아이들과의 상호작용에서 갈등은 피할 수 없습니다. 아이들이 다툼을 벌일 때, 부모는 중재자로서 아이들에게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합니다. “네가 먼저 장난감을 빌려주었으니 친구가 너에게 돌려줄 거야”처럼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아이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부모의 역할: 긍정적인 사회성 발달 지원하기

부모는 아이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모가 제공하는 환경과 경험이 아이의 사회성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1) 역할 놀이

역할 놀이는 아이가 사회적 규칙과 상황을 배우는 데 유익한 방법입니다. 부모와 함께 역할 놀이를 하며, 예를 들어, ‘엄마’, ‘아빠’, ‘선생님’ 역할을 맡으면서 아이는 사회적인 역할을 익히고, 이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쌓을 수 있습니다.

2) 또래와의 놀이 환경 제공

아이에게 친구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놀이터나 친구의 집에서 아이가 다른 아이들과 놀 수 있도록 해주세요. 이 시기에는 부모의 역할이 더욱 중요합니다. 부모는 자주 만나기 어려운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3) 감정 관리와 사회적 규범 배우기

아이들에게 감정 관리와 사회적 규범을 가르치는 것도 부모의 역할입니다. 부모는 아이가 감정을 표현할 때 어떻게 반응할지, 그리고 다른 사람과 어떻게 상호작용할지에 대한 기준을 제공해야 합니다. “친구에게 미소를 지으며 인사하는 것”처럼 간단한 규범을 아이가 습득하도록 도와주세요.

4. 개인적인 경험: 아이와의 사회성 발달

저도 제 아이가 2세에서 3세 사이에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시작할 때 그 변화를 눈여겨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친구와 장난감을 나누는 것을 어려워하던 아이가 점차 “친구랑 같이 놀고 싶어요”라고 말하며, 나누고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부모로서 그 작은 변화가 얼마나 기쁜지 모르겠더군요. 특히, 아이가 갈등을 겪을 때 “서로 미안하다고 하고 다시 놀자”라는 말을 들었을 때는 아이가 사회적 규범을 점차 배우고 있다는 것에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5. 마치며

2세부터 3세는 아이가 사회성 발달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부모는 아이가 또래와 원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이는 이 시기 동안 자신과 타인을 구별하고, 사회적 규범을 배우며, 친구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쌓게 됩니다. 부모는 아이가 안전하고 즐겁게 또래와 교류할 수 있도록 돕고, 아이가 사회성을 잘 발달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세요.